한 초등학교 교사분이 교육부 블로그에 올린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업 기록을 보면서 저도 나중에 유사하게 강의에 활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敎學相長의 사상을 갖고 때로는 선생님이 되고, 때로는 학생이 되어 서로를 가르치는 2인 1조 학습방식인 하브루타를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하여 생각을 하곤 했는데 그동안 찬반토론의 울타리에 갇혀 응용방법을 생각해 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회계에 대한 강의를 할 때 2인 1조로 나누어 2인에게 다른 유인물을 나누어 준 후 그 내용을 이해하여 상대방에게 설명해 보라고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3주 후에 공인회계사에 대한 진로직업체험 재능기부 강의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할 예정인데 한번 활용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산회계시스템에 대한 교육을 하면서 느끼는 것은 소통의 어려움입니다. 정확한 소통을 위하여는 선입견 없이 의견을 주고 받아야 하는데 고객의 입장과 지원조직의 입장 차이가 있어 정확하게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자신이 처한 입장을 솔직히 알리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고객은 최종 결과에만 관심이 있고, 지원조직은 굳이 다른 문제점을 공유할 의사가 없어 서로 모르는 상태에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소통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시스템의 경우 함께 볼 수 있는 공동의 대상이 있어 사실(fact) 부분이 크므로 입장차이가 있더라도 정확한 현황을 인식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편입니다. 그런데 이경우에도 시스템 및 업무에 대한 지식의 격차가 있어 또다른 소통의 장애가 존재합니다. 오늘 사례는 제가 이해..
- Total
- Today
- Yesterday
- 갈등
- 하브루타
- 퀸즈브라운
- 공감
- 푸르메재활병원
- 수평적소통
-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
- 협업
- 소통
- 모임
- 통합
- 투명
- sns마케팅
- 퍼실리테이션
- 공진초
- 질문
- 입장바꾸기
- 참여식수업
- 님비
- 참여
- 이상훈큐레이터
- 페이스북광고
- 서포터즈
- 시민참여단
- 퍼실리테이터
- 이상훈회계사
- 창업가게
- 진정한소통
- 이상훈퍼실리테이터
- 공론화위원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